8,852미터의 에베레스트를 정복하기 위해서 꼭 필요한 것이 있다. 정상을 1,000미터 앞둔 이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고도가 아니라 태도라는 사실이다. - 유니타스 브랜드 |
안 된다고 생각하는 부정적인 태도는 일을 ‘안 되게’ 만듭니다. 그래도 된다고 생각하는 태도가 ‘되게’ 만듭니다. 자신이 어떤 태도를 선택하느냐에 따라 성취할 수 있는 높이가 결정됩니다. (유영만, ‘다르게 생각하면 답이 보인다’에서 인용) 태도는 마음에 색을 칠하는 붓이라 할 수 있습니다. |
행복한 경영이야기
- 태도는 마음에 색을 칠하는 붓이다 2010.11.04
- 모든 일을 낙관하라 2010.11.02
- 가장 나쁜 것은 아무 결정도 하지 않는 것이다 2010.11.02
- 평생 현역으로 살아가기 2010.10.29
- 기쁜 마음으로 꾸중 듣기 2010.10.29
- 과학자들은 실패를 실험이라고 한다 2010.10.27
- 성공은 남에게 책임은 나에게 돌린다 2010.10.26
- 우리는 희망을 먹고 산다 2010.10.25
- 인생의 실패자가 되는 가장 확실한 방법 2010.10.22
- 나의 가능성은 무한하다 2010.10.21
태도는 마음에 색을 칠하는 붓이다
2010. 11. 4. 08:18
모든 일을 낙관하라
2010. 11. 2. 09:14
어떤 일을 시작하면 일단 잘 될 것이라고 낙관하라. 그러면 그 낙관론이 성공을 안겨줄 것이다. 일시적으로 삐걱거리더라도 더 잘 되기 위한 진통으로 받아들이고 더 잘 될 결과를 생각하라. - 톰 피터스, ‘리틀 빅씽’에서 |
약 30년을 실리콘밸리에서 살아온 톰 피터스는 ‘어떻게 보면 무모해 보이기까지 한 애플과 인텔의 낙관주의가 그들을 초우량 기업으로 성장시키는 것을 지켜보았다’고 말합니다. 그렇습니다. 혁신을 이끌어내는 진정한 힘은 낙관에서 나옵니다. 비관이 아닌 낙관이 세상을 변화시킵니다. |
가장 나쁜 것은 아무 결정도 하지 않는 것이다
2010. 11. 2. 06:55
어떤 결정을 내려야 할 때 가장 좋은 것은 올바른 결정이고, 다음으로 좋은 것은 잘못된 결정이며, 가장 나쁜 것은 아무 결정도 하지 않는 것이다. - 로저 엔리코 |
실수없는 최고의 결정을 내리려다 결정적 순간을 놓치는 경우가 많습니다. 의사결정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타이밍입니다. 많은 경우 잘못된 판단을 하는 것 보다 타이밍을 놓치는 것이 훨씬 나쁜 결과를 초래합니다. 요즘처럼 환경이 급격하게 변하는 때에는 70% 확신이 서면 결정하고 실행에 옮기는 것이 좋다고 말해집니다 |
평생 현역으로 살아가기
2010. 10. 29. 08:56
이탈리아의 위대한 작곡가 주세페 베르디가 80세 되는 해인
1893년에 작곡한 최후의 오페라 [팔스타프 Falstaff]를 본 관객이 물었습니다.
“19세기 최고의 오페라 작곡가로 인정받고 있고 이미 유명인이 된 선생님이,
그 나이에 힘들게 왜 또 오페라를 작곡하신 겁니까?
그것도 엄청나게 벅찬 주제를 놓고 말입니다”
베르디는 이렇게 대답했습니다.
“음악가로서 나는 일생 동안 완벽을 추구해왔네.
완벽하게 작곡하려 했지만 작곡을 마칠 때면 늘 아쉬움이 남았지.
분명 나는 완벽을 향해 한 번 더 도전해볼 의무가 있다고 생각하네.”
이재규 교수 저, ‘무엇이 당신을 만드는가?’에 나오는 일화입니다.
피터 드러커는 “나는 완벽을 향해 한 번 더 도전해볼 의무가 있다”는 말에 자극 받아
95세까지 평생현역으로 살았습니다.
기쁜 마음으로 꾸중 듣기
2010. 10. 29. 08:55
상사들이 나에게 엄격한 요구를 하는 것은 그만큼 나에게 많은 기대를 걸고 있다는 뜻이다. 나쁜 감정으로 이를 대하거나 불만 가득한 표정으로 상사를 대해서는 안 된다. 혼나면서도 상사가 들려주는 주옥같은 경험들과 이야기를 경청해야 한다. 그리고 그에게 감사하며 그의 말에 따르려고 노력해야 한다. - 류가와 미카, ‘서른 기본을 탐하라'에서 |
상사에게 혼나는 시간은 상사로부터 그의 경험과 그가 일을 처리하는 방법을 들을 수 있는 소중한 시간이기도 합니다. 꾸중 듣는 것을 꺼려하면 상사는 나에게 소중한 경험을 들려주는 것을 주저하게 됩니다. 또한 나에 대한 기대 수준을 낮추게 됩니다. 용맹한 사자로 성장할 수 있는 기회를 스스로 차버리는 것과 같습니다. 욕먹을 줄 알아야 큰 일을 하게 됩니다. |
과학자들은 실패를 실험이라고 한다
2010. 10. 27. 07:43
수학자들은 실패를 확률로 말한다. 과학자들은 실패를 실험이라고 한다. 실패는 성공에 꼭 필요한 과정이며 가장 중요한 투자다. 만약 한 번도 실패를 해보지 않았다면 어떻게 그 뒤에 숨어 있는 성공을 가질 수 있겠는가? - 류가와 미카, ‘서른 기본을 탐하라'에서 |
인생이란 학교에서 가장 중요한 과목은 ‘실패’입니다. IBM 설립자 토마스 왓슨은 '성공하는 방법은 실패를 두 배로 높이는 것이다.'라고 말했습니다. 실수를 되풀이하는 것도 어리석은 일이지만, 실수가 두려워 시도조차 하지 않는 것은 참으로 어리석고 부끄러운 일입니다. 다행히 실수와 실패에 대한 우리 사회의 인식이 많이 바뀌어가고 있음을 느낍니다. |
성공은 남에게 책임은 나에게 돌린다
2010. 10. 26. 08:23
좋은 리더는 책임질 때는 자기 몫 이상을 지고, 공을 세웠을 때는 자기 몫 이상을 다른 사람에게 돌린다. - 아놀드 글래스노 (Arnold Glasnow) |
러시아 속담에 ‘성공은 아버지가 많지만 실패는 고아다.’는 말이 있습니다. 보통 사람들은 성공은 자기의 공으로, 실패는 타인에게 돌리는 것이 일반적입니다. 오히려 그렇기 때문에 다른 사람의 마음을 사는 것이 의외로 쉬운 일이 될 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. ‘책임은 나에게, 성공의 공은 타인에게’ 돌리는 것이 바로 그것입니다. |
우리는 희망을 먹고 산다
2010. 10. 25. 09:04
인간은 무려 40일간 먹지 않고도 살 수 있다. 사흘 정도는 물을 마시지 않고도 살 수 있지. 심지어 8분 동안 숨을 쉬지 않아도 살 수 있단다. 하지만 희망이 없으면 단 1초도 살 수 없는 존재가 바로 인간이다. - 박성철, ‘중학생 인생수업’에서 |
단테는 <신곡(神曲)>에서 지옥의 입구에 이런 글이 새겨져 있다고 했습니다. ‘여기 들어오는 자는 모든 희망을 버려라.’ “세상에 희망만한 명약은 없다. 내일은 더 나아질 것이라는 기대보다 약효가 강한 자극제나 강장제는 없다.” 복음전도사인 오리슨 스웨트 마덴(Orison Swett Marden)의 말입니다. |
인생의 실패자가 되는 가장 확실한 방법
2010. 10. 22. 08:24
다음을 자세히 보세요
동기부여 전문가 커미트 루엑(Kermit Lueck)이 제시한
‘인생의 실패자가 되는 가장 확실한 10가지 방법’입니다.
첫째, 오늘 할 일을 내일로 미뤄라.
둘째, 의사소통을 분명하지 않게 하라.
셋째, 장점보다는 단점을 이야기하라.
넷째, 일을 대충하라.
다섯째, 목표가 없는 나그네가 되어라.
여섯째, 소극적인 사람이 되어라.
일곱째, 자기 자신을 과소평가하는 사람이 되어라.
여덟째, 늘 걱정하는 습관을 들여라.
아홉째, 일을 억지로 한다는 생각을 가져라.
열째, 인생을 대충대충 살아라.
박성철 선생님의 ‘중학생 인생수업’에 나오는 이야기입니다.
어찌보면 성공과 실패의 차이는 크지 않습니다.
위 습관대로 쭉 살아가면 실패하게 되고 반대로 살아가면 성공이 보장됩니다.
동기부여 전문가 커미트 루엑(Kermit Lueck)이 제시한
‘인생의 실패자가 되는 가장 확실한 10가지 방법’입니다.
첫째, 오늘 할 일을 내일로 미뤄라.
둘째, 의사소통을 분명하지 않게 하라.
셋째, 장점보다는 단점을 이야기하라.
넷째, 일을 대충하라.
다섯째, 목표가 없는 나그네가 되어라.
여섯째, 소극적인 사람이 되어라.
일곱째, 자기 자신을 과소평가하는 사람이 되어라.
여덟째, 늘 걱정하는 습관을 들여라.
아홉째, 일을 억지로 한다는 생각을 가져라.
열째, 인생을 대충대충 살아라.
박성철 선생님의 ‘중학생 인생수업’에 나오는 이야기입니다.
어찌보면 성공과 실패의 차이는 크지 않습니다.
위 습관대로 쭉 살아가면 실패하게 되고 반대로 살아가면 성공이 보장됩니다.
나의 가능성은 무한하다
2010. 10. 21. 08:21
모든 사람들의 마음 속에는 좋은 소식이 있다. 바로 자기 자신이 얼마나 위대해질 수 있는지, 얼마나 많은 사랑을 베풀 수 있는지, 얼마나 많은 것들을 이룩할 수 있는지, 잠재력이 얼마나 큰지 모를 만큼 한계가 없다는 것이다. - 안네 프랭크(Anne Frank) |
윌리엄 제임스 하버드대 교수는 ‘인간은 평생 자신에게 잠재된 능력 중에서 불과 5~7% 밖에 사용하지 못한다. 그리고 그것이 자신의 모든 능력이라고 믿으며 살아간다.’는 연구결과를 발표했습니다. 우리는 ‘자신의 인생을 싼값으로 취급하는 사람에게 인생은 그 이상을 지불하지 않는다’ 는 사실을 기억할 필요가 있습니다. (나폴레온 힐) |